20160513 윈도우 서버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메모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http://codeengn.com/
http://codeengn.com/archive/
구글 : site:http://codeengn.com/ intitle:index o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강의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MBR(Master Boot Record) 일반적으로 2.2TB 이하에서 사용
GPT(GUID Partition Table) 최대 약 9ZB까지 지원
Byte > KB > MB > GB > TB > PB > EB > ZB > YB
Kilo, Mega, Giga, Tera, Peta, Exa, Zetta, Yotta
Windows 파일 시스템
FAT -> FAT32 -> NTFS -> ReFS
NTFS(New Technology File System)
-> 한 개 파일 크기는 16TB까지 지원, 파일 압축, 보안, 쿼터, 볼륨 크기 재할당 등의 특징
ReFS(Resilient File System : 복원 기능의 파일 시스템)
-> NTFS의 장점과 호환성을 최대한 유지
-> 데이터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정
->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최대한 데이터를 복구. 즉, 온라인상에서 작업이 진행
-> 대용량 볼륨 및 파일의 크기를 지원
RAID :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(or Independent) Disks
원래 목적은 저렴한 저용량의 디스크 여러 개를 하나의 비싼 대용량의 디스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
저장소 공간이란 일종의 LVM
-> 저장 공간을 동적으로 유연하게 확장 가능
-> 내부적으로 RAID1 이나 RAID5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를 보호
->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기에 경제적으로 상당한 비용을 절감
-> 핫 스페어(Hot Spare) 개념의 디스크
> http://blog.naver.com/jtway/220179611085
-> 장애 조치(failover) 클러스터
-> 저장소 계층의 분리(Automated Tearing)
> 자주 사용되는 파일은 SSD로, 자주 사용되지 않는 파일은 HDD로 분리
> 전반적인 성능향상이 가능 (내부적으로 자동 수행)
-> 나중 쓰기 캐시
> 전달된 데이터를 SSD 저장소 풀에 먼저 저장한 후에
> 나중에 HDD에 저장되는 방식을 사용 > 빠른 데이터 자장과 성능이 보장
네트워크 스토리지
DAS(Direct Attached Storage)
-> Internal DAS : PC 내부 DISK
-> External DAS : 외장 DISK
(PC)-[HBA : Host Bus Adapter]-[광케이블]-(스토리지)
NAS(Network Attached Storage)
(PC)[파일시스템]-(서버)-(스토리지) ??
SAN(Storage Area Network)
(PC)-[파일시스템](서버)-(스토리지) ??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실습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5.1 하드디스크 추가
시작 > (컴퓨터 관리) > 디스크 관리
-> CD/DVD (R:)
-> 추가 디스크 (200GB) > 온라인 > 초기화(MBR)
-> 100GB(D:), 100GB(E:)
C: 파티션 60GB 에서 40GB 로 축소 > 할당되지않은 20GB 새로운 파티션 (F:) 생성
F: 파티션 볼륨 삭제 > C: 파티션 볼륨 확장 (40GB + 20GB)
RAID 구성 실습을 위해 SCSI 방식으로 2GB 1개, 1GB 8개 추가
-> 온라인, 디스크 초기화 > 동적 디스크 변환
레이드(스팬, 스트라이프, 미러, RAID-5) 구성
그림1 ~ 그림3
각 레이드 파티션(T:, U:, V:, W:)에 파일 복사 > 셧다운
SCSI 0:3, SCSI 0:5, SCSI 0:8, SCSI 0:10 디스크 제거
그림4 ~ 그림6
내용 확인 후 > 셧다운 > 디스크 4개 추가(SCSI 0:3, SCSI 0:5, SCSI 0:8, SCSI 0:10 확인) 후 > 부팅
시작 > 디스크 관리 > 초기화
-> 스팬, 스트라이프 : 볼륨 삭제, 동적 디스크 변환, 새 스팬/스트라이프 볼륨
-> 미러 : 미러 제거 > 미러 추가 (동기화)
-> RAID-5 : 볼륨 복구 (동기화)
오류로 남아있는 없음 디스크 > 디스크 제거
그림7 ~ 그림11
FIRST > 스냅샷매니저 > 설정 완료 : Go To (복원)
디스크 (5GB, 4GB, 4GB, 6GB) 추가 > 부팅
시작 > 디스크 관리 : 확인
시작 > 프로그램 및 관리 > Windows 기능 켜기/끄기
> 서버 역할 : Windows Server Essentials Experience 추가 > 설치
시작 > 제어판 > 저장소 공간 > 저장소 풀 만들기 > 풀 만들기
그림12
저장소 공간 만들기(교재참고)
그림13, 그림14, 그림15
20GB 디스크 추가 > 제어판 > 저장소 공간 > 설정 변경 > 드라이브 추가
그림16
FIRST 초기화 > 서버관리자 > 관리 > 역할및기능추가 > 텔넷서버/클라이언트 > 설치
시작 > 컴퓨터관리 > 서비스및응용프로그램 > 서비스 > Telnet > 속성 > 시작유형 : 자동 > 적용 > 시작
방화벽 해제 or telnet 허용
WINCLIENT > 제어판 > 프로그램 및 기능 > Windows 기능 켜기/끄기 > Telnet Client > 설치
FIRST 초기화 > 서버관리자 > 관리 > 역할및기능추가 > 서버역할 > Web Server(IIS)
> .NET Framework 3.5 Features > 역할서비스 > Application Development - CGI, FTP Server : 체크
그림17
FIRST > cmd > inetmgr
그림18, 그림19, 그림20 ~
'모의해킹 침해대응 전문가 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60516 정보보안/보안위협/실습환경구축 (0) | 2016.05.19 |
---|---|
20160516 윈도우 서버 (0) | 2016.05.19 |
20160512 윈도우 서버 (0) | 2016.05.14 |
20160511 윈도우 서버 (0) | 2016.05.12 |
20160511 리눅스 네트워크 (0) | 2016.05.12 |